목록전체 글 (141)
공부하는 스누피

스프링 스터디에서 스프링 기초에 대해 배우고 난 뒤 든 생각은 '혼자서 스프링으로 웹을 구현할 수 있을까?'였다. 그래서 이론보다는 좀 더 실무에 가까운 책을 선택해 공부하기로 했다.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는 책 제목부터 실무 느낌이 강해 스프링 공부를 시작할 때 반려했던 책인데, 스프링 부트를 공부하고 싶기도 했고 이제 구현 단계로 들어가도 될 것 같아서 이 책을 선택했다. 2개월 동안 책을 읽으면서 느낀 장점은 크게 3가지이다. 장점 1: 종이 질이 좋다! 책의 장점을 이야기할 때 종이 질은 참고서 외에는 거의 언급되지 않지만, 종이 질이 매우 좋다고 느꼈다. 전공 책의 미끌미끌?한 종이 질감에 질려서 그런 걸지도 모르겠지만, 책장을 넘길 때마다 사각사각 소리가 나는데 A..
JAVA에는 일반적인 값을 저장하는 primitive data type이 8가지 있는데, 각 type은 고유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 bool - 1bit (true, fault만 저장하기 때문) char - 2byte(16bit) -> 문자형 byte - 8bit short - 2byte(16bit) int - 4byte(32bit) long - 8byte(64bit) float - 4byte double - 8byte Implicit type casting 작은 타입은 큰 크기의 자료형으로 자동 형변환된다. 따로 명시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수행된다. ex) int는 실수형으로 자동형변환될 수 있다. long var = 100; (4byte -> 8byte) float fvar = var; (8byte -..

스프링 클라우드는 분산 시스템을 자주 쓰이는 패턴으로 빠르게 구축할 수 있게 해준다. 2015년에 1.0 버전으로 출시되었으며, 넷플릭스 OSS 도구를 기반으로 했다. 2019년에는 2.1 버전을 출시하면서 넷플릭스 도구를 대체하는 컴포넌트를 제시했다. Resilience4j, 스프링 클라우드 로드 밸런서 등이 대체 컴포넌트에 해당된다. 또한, Azure, AWS, GCP같은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자주 쓰이는 패턴과 컴포넌트 - 서비스 검색 : 스프링 클라우드 로드 밸런서를 사용한다. - 에지 서버 : 스프링 클라우드 Gateway, 스프링 시큐리티 OAuth - 서킷 브레이커 : Resilience4j 컴포넌트를 사용한다. - 구성 중앙화 : 스프링 클라우드 Config..

도커는 가상 머신을 대체하는 경량 컨테이너 개념을 새롭게 제시한 오픈 플랫폼으로, 애플리케이션들을 빠르게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컨테이너는 리눅스 호스트에서 실행되며, 리눅스 namespace를 이용해 시스템 리소스를 분배한다. 이 방법은 기존 가상 머신이 작동하는 방식보다 자원 사용량에 있어 효율적이다. 가상 환경이 기존 OS 위에 사용하고 싶은 OS를 올리는 방식이라면, 컨테이너는 도커가 대신 자원을 관리하기 때문에 오버헤드를 줄였다. 다음은 대표적인 도커 사용 사례이다. - 도커 컨테이너를 사용해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한다. - 테스트 환경 구축, 실행까지 자동화가 가능하다. - 개발 환경에서 수정한 애플리케이션을 테스트 환경에 재배포할 수 있다. - 테스트가 끝나면 상용 환경에 이미지를 쉽게 배포할..

오늘 정보처리기사 실기 결과 발표가 났다. 필기는 정기 3회 시험을 쳤고, 실기도 3회차로 치려고 했으나 인적성 시험과 겹쳐서 못갔다. 차라리 응시 취소를 했으면 4회차를 칠 수 있었겠지만, 결시여서 아쉽게도 5회 시험이 있는 11월 말까지 기다리는 수밖에 없었다. 3회차에 필기와 실기를 다 칠 생각으로 10월 초에 실기 책을 거의 다 풀어버린 데다 면접 일정까지 겹쳐서 5회 시험은 거의 준비하지 않았다. 시험 전날 수제비 카페에서 기출문제를 한번 풀어보기만 했다. 다행히 결과는 합격이었다. 필기는 시험 한 달 전부터 시나공 기본서를 사서 공부했다. 플젝 위주 수업만 듣다 보니 CS 기본을 다 잊어버린 것 같아서 길게 잡고 정독했다. 참고로 시나공 필기는 책이 두꺼우니 분철하는 것을 추천한다. 정독하면서..

서비스 검색 Service discovery 문제 client가 마이크로서비스와 인스턴스를 찾을 수 있어야 한다. 인스턴스의 동적 IP 주소는 인스턴스가 시작될때 할당받아서 HTTP 기반 API를 호출하기 어려워진다. 해결 => 사용 가능한 인스턴스와 서비스를 추적하는 새 컴포넌트(service discovery)를 추가한다. - 방법 1: 클라이언트 측 라우팅으로 클라이언트가 서비스 검색 서비스를 이용해 요청을 보낼 만한 인스턴스를 찾게 한다. - 방법 2: 서버 인프라에 리버스 프록시를 노출시켜 클라이언트를 대신해 적절한 인스턴스로 요청을 전달하게 한다. ex. 넷플릭스 유레카, 넷플릭스 리본, 쿠버네티스 kube-proxy, 쿠버네티스 서비스 리소스 에지 서버 Edge server 문제 공개된 마이..

마이크로서비스 마이크로서비스는 독자적인 업그레이드와 스케일링이 가능한 독립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이다. 일체형 애플리케이션과는 달리 마이크로서비스는 여러 개의 작은 서버에 배포할 수 있어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확장하고 빠르게 개발할 수 있다. 마이크로서비스가 독립된 컴포넌트로 동작하려면 다음과 같은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 아무것도 공유하지 않는 아키텍처를 유지해야 한다. (ex.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공유 x) - 동기 방식이나 명확한 API를 이용해서만 통신해야 한다. - 개별적인 런타임 프로세스로 배포해야 한다. - 마이크로서비스 인스턴스는 stateless하기 때문에 모든 인스턴스가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마이크로서비스 개발은 플랫폼의 각 기능을 독립적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로 개발하는 방식으로 이..